[뉴스큐브] 신규확진 538명…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주목<br />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신규 확진자 수는 이틀 연속 500명대를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우리나라의 '글로벌 백신 허브' 도약을 위한 한미 양국과 기업 간 협력체계가 마련돼 주목되는데요.<br /><br />두 분과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교실 교수, 최영일 시사평론가 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국내 신규 확진자 수가 538명 늘었습니다. 특히 지역 발생 확진자 중 비수도권 비중이 절반에 육박한 수준까지 치솟으며 1월 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 감염 재생산지수는 한 달 만에 다시 1을 넘어섰는데요. 현재 추세 어떻게 진단하십니까?<br /><br /> 현행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와 5인 이상 모임 금지 조치를 3주 동안 더 연장된 가운데 정부는 확진자 수가 하루 평균 천 명 이하로 계속 유지가 된다면, 7월부터는 새 거리두기 체계 도입이 가능하다고 보고 있습니다. 아무래도 관건은 백신 접종률이 되겠죠?<br /><br /> 대구 유흥업소발 집단감염이 심상치 않습니다. 유흥업소 종업원과 업소 이용자가 대부분인 가운데 n차 감염자도 나오면서 지난 19일부터 지금까지 누적환자는 158명입니다. 이렇게 전파 규모가 크고 빠르게 많이 확산한 원인은 어디에 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집합금지 위반이 적발되면 업소 대표와 이용객을 형사 고발하고, 해당 업소에서 코로나가 확산되면 구상권도 청구하기로 했습니다. 하지만 꼼수 영업 등 방역수칙을 위반하는 사례도 적지 않은 만큼 법적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는데요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한미 정상이 백신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백신 생산 확대를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.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모더나와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하는 등 진전도 있었죠. 한국이 글로벌 백신 허브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인데, 이건 어떤 의미인가요?<br /><br /> 한국은 아스트라제네카, 노바백스, 스푸트니크V에 이어 모더나까지 국내 생산이 가능해졌습니다. 게다가 모더나 위탁생산분은 국내에도 공급될 수 있도록 협의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. 국내 백신 수급에 숨통이 트일까요?<br /><br /> 조만간 과학자,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'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'을 구성해 이번 협약을 실무 지원하기로 했습니다. 양국 간 파트너십 구축, 이번 MOU 체결과 맞물려 백신 기술 이전 가능성에 대한 전망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